info-ideas4334 님의 블로그

디지털 포렌식 정보 블로그 입니다

  • 2025. 4. 14.

    by. info-ideas4334

    목차

      모바일 앱 포렌식 – 카카오톡, 텔레그램, SNS 분석

       

       

      모바일 앱 포렌식 – 카카오톡, 텔레그램, SNS 분석

       

       

       


      📌 1. 모바일 앱 포렌식의 필요성과 범위

      키워드: 모바일 앱 포렌식, 커뮤니케이션 증거, 앱 데이터, 스마트폰 분석

      모바일 앱 포렌식은 스마트폰 내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사용자 활동을 추적하고, 디지털 증거로 확보하는 분석 기법이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문자에서 메신저 앱(SNS 포함)으로 급격히 이동하면서, 포렌식 분석의 중심도 모바일 앱으로 옮겨가고 있다. 카카오톡, 텔레그램,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네이버 밴드 등은 일상적 대화는 물론, 사건·사고·범죄의 수단으로도 악용되기 쉬운 플랫폼이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앱에는 대화 내용, 사진/영상 첨부파일, 연락처, 로그, 설정 정보, 시간기록, 위치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수사, 내부 감사, 민형사 소송 등에서 중요한 전자증거로 인정받는다. 그러나 앱마다 저장 방식과 암호화 수준이 다르고, 클라우드 동기화 기능이 함께 적용되기 때문에, 모바일 앱 포렌식은 단순한 스마트폰 데이터 분석이 아닌, 클라이언트+서버+사용자 행위의 통합 분석이 필요한 고급 포렌식 영역이다.


      📌 2. 주요 앱별 분석 방식 – 카카오톡, 텔레그램, SNS

      키워드: 카카오톡 포렌식, 텔레그램,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클라이언트 데이터

      각 앱은 고유한 저장 방식과 보안 모델을 가지고 있어, 분석 방식도 앱에 따라 달라진다.

      • 카카오톡은 안드로이드의 경우 SQLite 형식의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메시지, 대화방 정보, 미디어 경로 등이 저장되며, 루팅된 기기에서는 /data/data/com.kakao.talk/ 경로 하위에서 chat.db, contents.db 등을 분석한다. iOS의 경우 iTunes 백업 또는 jailbreak 후 접근이 가능하다.
      • 텔레그램은 클라우드 중심 구조로, 대부분의 메시지가 서버에 저장되며 클라이언트에는 일부 캐시만 남는다. 그러나 비밀채팅은 로컬 저장 후 자동 삭제되며, 이는 tgdb 또는 cache4.db 등 캐시 파일에서 추출 가능하다. 또한 텔레그램은 사용자의 전화번호, 접속 IP, 앱 설치 시각 등도 로그로 남긴다.
      • **SNS 앱들(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은 메시지 외에도 사진 업로드 기록, 댓글, 좋아요, 위치 태그 등이 중요한 분석 대상이다. 모바일 클라이언트는 WebView 형태로 작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앱 내 브라우저 히스토리, 쿠키, 세션 토큰 등을 통해 사용자 행위의 흔적을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루팅/탈옥, 물리적 추출, 백업 이미지 분석, ADB 명령어 추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며, 앱의 버전 변화에 따라 접근 방식도 달라진다.


      📌 3. 모바일 앱 포렌식의 기법과 도구

      키워드: 모바일 포렌식 도구, Cellebrite UFED, Magnet AXIOM, 앱 분석

      모바일 앱 포렌식은 정밀한 추출과 구조화된 분석 능력을 동시에 요구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주요 도구들은 다음과 같다:

      • Cellebrite UFED: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상용 모바일 포렌식 도구로, Android 및 iOS에서 앱 데이터를 추출하고 자동으로 복원/시각화한다. 카카오톡, WhatsApp, 텔레그램, 페이스북 등 다양한 앱을 지원하며, 암호화된 DB 해독 기능도 제공한다.
      • Magnet AXIOM: 모바일과 PC, 클라우드를 통합 분석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으로, 모바일 앱 분석에 최적화된 기능을 갖추고 있다. 앱별 구조 분석, 메시지 추출, 타임라인 생성, 미디어 미리보기, 지오로케이션 분석 등 다양하다.
      • MOBILedit Forensic Express: 루팅 없이도 iOS/Android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도구이며, 분석 결과를 HTML 또는 PDF 형태로 리포트화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또한 수동 분석 방식으로는 ADB(Android Debug Bridge)를 활용해 adb pull로 앱 데이터 디렉토리를 복사하거나, iTunes 백업을 .plist, .sqlite 파일로 분석하는 방식도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대화 타임라인, 메시지 내용, 발신자 정보, 첨부파일, 위치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하며, 법정 증거로 제출할 수 있는 형태로 리포트화된다.


      📌 4. 앱 보안 강화와 포렌식 대응 전략

      키워드: 엔드투엔드 암호화, 앱 보안, 삭제 메시지, 반포렌식, 대응 방법

      모바일 앱은 최근 들어 개인정보 보호 강화 및 반포렌식 기능을 빠르게 채택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엔드투엔드 암호화, 자동 삭제 메시지, 비밀채팅, 로그인 이력 없음, 앱 내 데이터 암호화 저장, 루팅 감지 및 차단 등이 있다. 특히 텔레그램의 비밀채팅, 카카오톡의 사라지는 메시지, 인스타그램의 자동 삭제 DM 등은 분석자가 흔적을 남기기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보안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포렌식 분석가가 앱 동작 구조, 저장 방식, 백업 포맷, 클라우드 연동 여부 등을 사전에 숙지해야 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앱별 저장소 경로, 파일 포맷, 암호화 패턴을 파악해 놓고, 최신 버전에 맞는 추출 스크립트 또는 분석 플러그인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삭제된 메시지나 로그도 포렌식 관점에서는 여전히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제된 SQLite 데이터베이스 내 unallocated 영역, WAL 파일, 시스템 캐시 등에 남은 조각 데이터는 복원 가능한 가능성이 있으며, 분석자는 이를 통해 의도적 삭제 행위나 범행 은폐 시도를 입증할 수 있다.
      향후에는 모바일 앱 포렌식도 AI 기반 자동 분석, 앱별 사용자 프로파일링, 클라우드 연계 분석 중심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며, 분석자의 전문성과 해석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것이다.